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78)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문자를 대문자 또는 소문자로 바꾸는 toUpperCase, toLowerCase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쉽게 소문자를 대문자로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꿀 수 있다.1. 대문자 변환 - toUpperCase()toUpperCase() 메서드는 알파벳 문자열을 전부 대문자로 바꾸는 메서드이다.사용법은 아래와 같다.const str = "hayasaka"; // 대문자로 바꿀 문자열을 변수에 저장let upperCase = str.toUpperCase(); // str에 있는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꿔서 upperCase에 저장console.log(upperCase); // HAYASAKAupperCase = "mei".toUpperCase(); // 문자열에 바로 적용console.log(upperCase) // MEI 바꿀 문자열에 toUpperCase() 만 붙이면 쉽게 ..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에러를 잡는 try catch 목차try catch란?try catch 사용법에러 메세지 보기커스텀 에러 만들기주의사항1. try catch 란?try catch는 자바스크립트를 작성하던 중 오류가 발생하였을때 프로그램이 중지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오류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가진 코드이다.2. 사용법try { // 코드실행 } catch (error) { // 에러 발생시 작동할 코드 } 기본 문법은 위와 같다. try 안에 있는 코드를 작동시키다가(일반적으로 한줄 한줄) 오류가 발생하는 순간 그 아래에 있는 모든 코드들은 무시되고 바로 catch문으로 빠지게 되는데 이때 오류의 정보는 error 매개변수로 들어가게 된다. error의 경우 변수명이기 때문에 아무 이름이나 써도 된다. 2 - 1 사용 예제try { let a = 10..
(공부중) MySQL CRUD 공부(3) - 정렬, 필드 데이터 수정/삭제 목차데이터베이스 만들기테이블과 필드만들기필드에 내용 추가하기인덱스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Extra - 필드 데이터의 수정과 삭제4. 필드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이제 데이터베이스의 필드를 정렬해보려고 한다.SELECT * FROM `테이블이름` ORDER BY `기준이 될 필드명` DESC; 구문은 SELECT ... ORDER BY ... 를 쓰면 된다.테이블 이름에는 조회를 할 테이블을 ORDER BY 뒤차에는 어떤 필드를 기준으로 정렬할 지를 써주면 된다. 그리고 그 뒤에 내림차순 (큰 숫자부터 작은 숫자로 정렬)을 하기 위해서는 DESC를 쓰면되고, 오름차순을 하기 위해서는 ASC나 아니면 그냥 아무것도 안 적으면 된다. 정렬을 한다고 실제로 데이터 베이스의 값이 정렬이 되는 것이 아니고 보는 방..
(공부중) MySQL CRUD 공부(2) - 필드 삭제와 필드의 이름, 타입 수정 저번에 이어 포스팅을 작성해본다. 전에 필드의 내용을 추가하는 부분까지 하였고 이제 필드를 삭제해보려고 한다.목차데이터베이스 만들기테이블과 필드 만들기필드에 내용 추가하기인덱스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3 - 3  필드 삭제필요없는 필드를 삭제해보려고 한다. 그전에 며칠 동안 포스트를 안 쓰다 보니 무슨 필드가 있는지 다 까먹어서 필드를 확인해보려고 한다. USE `mei` --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한다.SHOW TABLES; --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 테이블을 확인한다.DESC `board`; -- board 테이블에 존재하는 필드를 확인한다. FieldTypeNullKeyDefaultExtraidvarchar(10)YES NULL contenttext.. .. titlevarchar(..
(공부중) MySQL CRUD 공부(1) - 데이터베이스 생성부터 테이블과 필드 추가까지 오늘 배운 SQL 내용들을 잊기 전에 정리해보자.목차데이터베이스 만들기테이블과 필드 만들기필드에 내용 추가하기인덱스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1. 데이터 베이스 만들기제일 먼저 My SQL에 연결을 해야한다.CMD를 켜고 MySQL -u root -p(비밀번호) 이제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어보자CREATE DATABASE `MEI` DEFAULT CHARACTER SET utf8mb4 COLLATE utf8mb4_general_ci;  각각의 구문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CREATE  DATABASE `MEI` : MEI라는 이름을 가진 데이터 베이스를 만든다. 본 구문에서 MEI는 데이터 베이스 이름이기 때문에 당연히 만들때 MEI가 아니라 다른 자신이 원하는 이름으로 만들면 된다. DEFAULT CHA..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구조 분해 할당 # 구조 분해 할당구조분해할당은 자바스크립트에 존재하는 기능 중 하나로 복잡한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에 쉽게 대입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때 원본 배열이나 객체는 바뀌지 않는다.  # 배열 구조 분해 할당// 배열의 구조분해 할당const arr = [100, 200]; // 배열을 만든다.const [a, b] = arr; // 다음과 같이 배열을 대입하면 a에는 100이 b에는 200의 값이 들어간다.console.log(a) // 100console.log(b) // 200 배열의 경우 좌측에는 할당을 받을 변수를 담은 배열을 우측에는 분해를 진행할 배열을 작성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a에는 arr배열의 첫번째 값인 100이, b에는 arr의 두번째 값인 200이 들어온다.  ## 배열 구조 분해 할..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split 함수 # split()split 함수는 자바스크립트의 문자열에 사용할 수 있는 함수로 구분자나 정규식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배열로 반환하는 함수이다. # 예제let str = "hello world"let strArr = str.split(" ") //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잘라 배열로 반환된다.console.log (strArr); 다음과 같은 코드를 쓰면 "hello world"를  공백을 기준으로 자르고 배열로 반환되어  ["hello", "world"]로 저장이 된다. 이를 이용하면 다양한 방법으로 쓸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주소의 쿼리스트링을 기준으로 특정 문자열을 가져오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let str = "https://address?&index=1" // 만약 이와 같은 주소가 ..
vscode 터미널에서 폴더 생성/삭제, 파일 생성/삭제 터미널창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생성하는 법은 매우 간단하다. 익숙해지면 마우스를 쓸 필요없이 키보드로만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어 편하게 vscode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ctrl + `터미널창 열기/닫기cd 폴더명해당 폴더로 이동cd ..상위 폴더로 이동mkdir 폴더명해당 이름으로 폴더 생성rm 파일 또는 폴더명해당 파일/폴더 삭제 *touch 파일명.확장자해당 이름과 확장자로 이루어진 파일 생성code 파일명해당 파일 열기 * 명령어 입력시 즉시 삭제되며 삭제된 파일은 복구가 불가능하니 정확히 확인하고 파일 또는 폴더 삭제를 진행해야한다.  # 예제임의의 폴더에서 또 하나의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js 파일을 만들어 보자.===== ~/Desktop =====mkdir test /..
Javascript(자바스크립트) 특정 문자를 대체하는 replace 함수 # replace(); replace 함수는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바꾸는 함수이다. 함수를 적용하는 문자열은 바뀌지 않으며 바뀐 문자열이 반환된다. 직접 문자를 써서 특정 문자를 바꿀 수도 있고, 정규식을 이용하여 문자를 바꿀 수도 있다. # 구문str.replace("바꿀 문자", "바뀌는 문자") str은 텍스트가 들어있는 변수이며, 첫번째 인자로는 str에 들어있는 문자 중 바꾸고 싶은 문자를 직접 문자로 입력하거나 정규식을 입력하며, 두번째 인자로는 첫번째 인자를 변경할 문자를 적으면 된다. # 예제let str = "안녕하세요. undefiend님. undefiend님을 만나봬서 영광입니다."let newStr = str.replace("undefiend", "이용자");// ne..
매개변수와 인자 함수를 사용할때 매개변수와 인자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이 둘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아서 정보를 찾아보았다. 매개변수 - 함수를 처음 정의하고 이후 함수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정의하는 변수이다.인자 - 이제 함수를 사용할 때 함수에 전달하는 변수이다. function fx(매개변수) { return 매개변수 } fx(인자);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으며 실제로 함수를 사용할 때는 용어 둘을 엄격히 분리해서 쓰지는 않는다고 한다.